ܹ Ѽӱȸ


θ޴


޴

ȸ, ȸ߰ڷ ٷΰ

  • ȸȳ
  • ȸ߰ڷ

Ȩ > ǽ >


글보기, 각항목은 제목, 작성자, 작성일, 조회수, 첨부파일, 내용으로 구분됨
<혼동>내노라/내로라
작성자 국어사랑 작성일 2004. 4. 4. 조회수 1502
'내노라'인가, '내로라'인가

: '내로라'가 맞음

'내로라 하는 사람들이 모두 모였다. '

※ '내로라'는 기원적으로 대명사 '나'에 서술격조사 '이-', 주어가 화자와 일치할 때 쓰이는 선어말어미 '-오-'(흔히 의도법 선어말어미나 1인칭 선어말어미라 불린다), 평서형 종결어미 '-다'가 차례로 결합된 형식이다. 이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.
(1) 내로라: {나}+{이-}+{-오-}+{-다} ⇒ 나+이-+-로-+-라 ⇒ 내로라
중세국어에서는 서술격조사 '이다' 뒤에서 선어말어미 '-오-'가 '-로-'로 바뀌고, 선어말어미 '-오-' 뒤에서 평서형 종결어미 '-다'가 '-라'로 바뀌는 현상이 있어서, '{나}+{이-}+{-오-}+{-다}'는 '내로라(<나+이-+-로-+-라)'로 나타난다.
이와 같은 선어말어미 '-오-'의 화석은 현대국어에도 남아 있다. "하노라고 한 것이 이 모양이다"에서 '-노라'가 바로 그것이다. '-노라'는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'-느-'에 어미 '-오라'가 결합한 것인데, 이때의 '-오라'는 우리가 (1)에서 보았듯이 선어말어미 '-오-'와 평서의 종결어미 '-라'('-오-' 뒤에 오는 '-다'의 변이형)로 구성된 형식이다.
이상의 논의는 (1)에서 '-로라'의 성격이 '-오라'와 다르지 않다는 주장으로 귀결된다. '-로라'의 '-로-'는 선어말어미 '-오-'의 이형태(allomorh)이기 때문이다. 그런데 '-로라'가 '-오라'와 같다면 '-로라'는 '-노라'와도 같은 부류의 어미가 된다. 국어에서 '-느-'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날 뿐 형용사나 서술격조사의 어간 뒤에는 나타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어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'-느-'에 '-오라'가 결합되어 형성된 '-노라(<-느-+-오라)'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나고, 형용사나 서술격조사 '이다' 뒤에는 각각 '-오라', '-로라'(앞서 지적하였듯이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특이하게도 '-오-'가 '-로'로 바뀌어 나타난다)가 나타나기 때문이다.
'-노라'와 '-로라'가 쓰이는 예에는 "각 분야에서 내로라 하는 사람들이 모였다 / 모두들 자기 책임이 아니로라 우기기만 한다"나 "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" 따위가 있다

@자료: 한글학회
첨부
  •     

ּ ó, ۱

̵